플루시오스
게임과 법학 그리고 조각 텍스트 본문
요하며, 게임에 관한 법률적 문제라면 게임과 법학에 관한 지식이 필요하며, 문 학에 관한 법률적 문제라면 문학과 법학에 관한 지식이 필요153)하다. 특히 인터넷으로 연결된 새로운 공간은 기존의 문학에 대한 새로운 방식을 제 공한다. 특히 하이퍼텍스트 문학의 등장은 독자의 참여라는 실험적 방식을 제공 함으로써 ‘새로운 문학적 특징’을 보여준다. 이러한 하이퍼텍스트 문학은 비선형 적이라는 첫 번째 특징이 있다. 비선형성은 하이퍼텍스트가 전통적인 진행형 텍 스트들처럼 선형적인 구조를 가지지 않고 텍스트 구성성분들과 조각 텍스트들로 하나의 네트워크를 구성한다는 것을 의미하며, 이 네트워크에서 텍스트들은 링 크를 통해 서로 결합된다.154) 전통적인 인쇄 문학의 평면 공간에서 입체 공간으 로의 이동은 독자에게 자유로움을 주며 인쇄매체에서 느껴보지 못한 새로움을 준다. 이러한 새로움은 일방적인 방향의 수용이 아닌 상호간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상호작용성으로 인해 그 영향력은 확대된다. 최근 하이퍼텍스트는 점차 언어적 텍스트는 물론 동영상, 이미지, 사운드 등 멀티미디어적 요소를 가미하는 경향이 되어 간다.155) 사운드, 영상, 텍스트 등을 게 연구하면서 컴퓨터 기술의 상호 대화성과 비선형성을 공부하고 있다. 류현주, 하이퍼 텍스트문학, 김영사, 2000, p.24. 153) 종합적이며 체계적인 지식이 필요한 것은 이러한 문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 니다. 체육, 미술, 문학,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지식과 관련하여 법률문제 와 심도 깊게 검토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다. 154) 유현주, 앞의 책, p.36. 155) 마윤희,「하이퍼텍스트 문학 저작 도구 분석 및 설계」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, 2001, p.11. - 135 - 연결하는 하이퍼링크로 이루어진 통합체적 서사가 인터넷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 하고 있다. 다양한 매체의 통합이라는 하이퍼미디어적 특성으로 인해서 하이퍼 텍스트 문학은 이제 미디어의 통합이 아니라 예술 장르의 통합으로 까지 논의되 고 있다는 점에서 다매체성의 특징을 띠고 있다. 마크 아메리카(Mark Amerika)의 그래마트론(Grammatron)은 테크노 문학이 라는 새로운 장르로 분류될 만큼, 시청각적인 요소가 작품의 본질을 이루고 있 다.156) 그래마트론은 방대한 그래픽과 오리지널 사운드 트랙을 포함하고 있어서 멀티미디어 예술의 장르로 손꼽힌다. 이 작품은 누구든지 자유롭게 들어가 볼 수 있도록 인터넷상에 올려져 있다.157) 이 작품은 문명의 발전으로 전자 매체 자체가 인간의 마음과 감정을 읽어 글을 쓰게 되는 상황을 허구적으로 그렸다. 을 입력하여 이 사이트에 접속하면 독자는 원하는 경로를 통하여 글쓰는 기계인 그래마트론158)이 인간의 마음과 감정을 읽어 글 을 쓰게 되는 상황을 감상할 수 있다. 이러한 하이퍼텍스트 문학은 백 여명 이상의 시인들이 문예진흥원 새로운 예 술의 해 사업의 일환인 언어의 새벽이라는 하이퍼텍스트 작업을 시도하였다. 의 주소에 개설된 이 작업은 김수영의 <풀>을 기본 텍스트 로 하고 있다. 최초의 씨앗글인 이 시의 한 부분을 클릭하면 이어서 새로운 시 156) 유현주, 앞의 책, p.44. 157) 우선아, 「하이퍼텍스트의 문학적 가능성에 관한 연구」,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, 2005, p.45. 158) Gramma는 글쓰기에서 기본단위를 의미하며, tron은 기계를 의미한다. 따라 서 그래마트론은 글쓰기 위한 기계 혹은 글 쓰는 기계라는 뜻이 된다. 류현주, 앞의 책, p.151. - 136 - 를 접목시킬 수 있다. 159) 이러한 시도에 대한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. 먼저 이 작업은 우리 문학사에서 미디어의 전면적인 도입 시도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.160) 이 작업의 목적은 문학과 멀티미디어의 만남을 통해 문학의 새로운 장르를 탄생시키고자 하는 데 있다. 이 작업은 문자의 특성에서 비롯된 상상력을 미디어와 디지털을 접맥시키고자 하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으로, 우리 문학의 진로에 대하여 방향성 을 제시하고 있다. 따라서 이 작업은 우리 문학사에서 미디어의 전면적인 도입 시도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한다. 이에 비하여 이 작업의 결과 쓰여진 시들은 단지 모자이크적인 텍스트에 불과 하다는 비판도 있다.161) 작업의 결과는 참담한 모습을 드러낼 뿐이다. 소위 집 단창작의 한 유형이 거대한, 시작도 끝도 통일성도 없는 텍스트를 통해 드러났 다. 글 쓰는 시인들은 이름을 남겼지만 누구라도 좋을 정도로 익명의 상태가 되 었다. 수많은 시인들이 가지를 치는 시들은 단지 몇 가지 단어들의 공유라는 연 159) 우선아, 앞의 논문, p.35. 이러한 방법에는 제한적 규정이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. 즉 적어도 김수영의 시 <풀>의 중심단어인 풀이나 눕는다 등 몇 가지를 반드시 집어넣어야 한다. 글의 분량은 400자 이내로 제한된다.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시는 또 하나의 씨앗글이 되는 데 이글 에 접속한 사람은 새로운 시를 덧붙일 수 있다. 이렇게 해서 언어의 숲을 만들어낸다 는 것이다. 2000년 4월 이 작업이 공식적으로 시작되었으며, 2000년 12월 공식적인 사업은 종료되었다. 그 후 인터넷상 주소를 옮긴 후, 닫힌 채로 있다고 한다. 160) 장창영,「방사상 수사와 디지털 텍스트 읽기-아햏햏과 언어의 새벽 의 소통구조를 중심으로」, 『한국언어문학 』제51집, 한국언어문학회, 2003, p.643. 161) 신범순, 앞의 책, p,22. - 137 - 관성만으로 엮인 채 각각 고립된 섬으로 흩어져 있다. 각각의 시들은 풀을 이리 저리 잘래내고 다른 구절들을 적절히 이어붙인 모자이크적 텍스트들이다라는 것 이다. 하이퍼텍스트 시는 시인과 독자의 위상 변화에 긍정적 역할을 해 온 것이 사 실이지만, 다른 한편에서는 문학이 성취했던 사유와 상상, 기법이나 문체 등을 다 팽개치고 가장 빈곤한 수준에서 이리저리 헤매는 것이라는 오해 섞인 비판을 받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.162) 예를 들어 웹 상에서는 프린트 문화에서 중시되었 던, 질적인 가치를 중심으로 선별하는 작업자(심사위원/편집자)가 없어지기 때문 에, 질적 수준이 의심스러운 텍스트들의 범람이 문제가 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.163) 이 같은 비판은 하이퍼텍스트 시가 근본적으로 비선형적 텍스트라는 고유의 특성을 충분히 파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제기되는 것으로 보인다. 하지만 하이퍼 텍스트가 기존의 서사 형식보다 우월한 것이라든가, 기존의 서사 형식을 포괄적 으로 대체할 수 있다는 낙관은 성급하며 위험하기조차 하다는 지적에는 충분히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. 시 분야에 국한해서 말하자면, 하이퍼텍스트 개념을 적용한 시와 기존의 시는 어느 한쪽이 다른 쪽을 대체하거나 부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.164) 162)이성우,「디지털기술과 한국현대시」,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, 2005, p.157. 163) 정형철,「하이퍼텍스트 픽션이란 무엇인가」, 이선이 편저, 사이버문학론, 월 인, 2001, p.101. 164)이성우, 앞의 논문, p.157.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텍스트 차용과 패스티쉬 그리고 표절 (0) | 2021.11.30 |
---|---|
인터넷 이용자들의 문학작품과 형식 실험 (0) | 2021.11.30 |
구비문학과 현장 그리고 쌍방향 종합예술 (0) | 2021.11.30 |
통합적 텍스트와 결론성 그리고 기존 문학 (0) | 2021.11.30 |
김수영 시인과 하이퍼텍스트 그리고 독자의 선택 (0) | 2021.11.30 |